전 세계적으로 사회적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잘사는 80명이 전 세계 인구 절반이 가지고 있는 만큼의 부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최고 부자 1%가 전 세계 부의 절반을 소유하고 있는 반면, 전 세계에서 10억 명 이상이 하루 1달러 정도의 돈으로 살아가고 있다는 통계도 있다.
세계적 차원에서의 사회적 양극화의 추세에 따라 한국사회의 양극화도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양극화는 기본적인 소득의 양극화에 더하여 주거, 교육, 소비, 의식 등 시민들의 삶의 전 영역에 걸쳐 진행되고 있다. 한국사회에서 양극화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19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진행된 해고, 구조조정 및 비정규직 증가 등이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런데 사회적 양극화가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양극화가 한 세대에서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다음 세대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부의 세습으로 인한 계층이동의 어려움, 노동시장의 불평등, 과도한 학벌사회, 부족한 사회안전망 등이 사회적 양극화를 더욱 구조화시키고 있다. 이에 더하여 과거 ‘계급 역전’, 즉 사회적 양극화를 극복할 수 있는 사다리 역할을 했던 교육도 그 기능을 상실함으로써 ‘개천에서 용이 날 수 없는’ 사회가 되었다는 지적이다.
더욱 큰 문제는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양극화가 심화될수록 사회적 갈등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양극화에 따른 문제점은 비단 진보진영뿐만 아니라 전국경제인연합회와 같은 보수진영에서도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다. 2018년 6월 27일 전경련 주최로 개최된 특별대담에서 전경련 회장도 양극화와 빈곤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로서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 경제계도 고민하고 실천하겠다고 언급하였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를 해결해 나갈 것인가? 핵심은 사회적 갈등을 더욱 증폭시키는 계층이동의 불가능성을 해소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사회적 양극화가 심화되면 될수록 계층이동이 어려워지고, 이러한 사회는 사회적 갈등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부의 불평등이 교육의 불평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해야 하며,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의 소득격차가 줄어들 수 있도록 노동불평등을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에 더하여 사회적 양극화로 인해 소외된 계층이 재기할 수 있도록 사회안전망을 확충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