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62호] 마을 조정가 양성을 위한 교육안 체계의 필요성
작성자: 관리자 | 작성일: 2023.03.30 | 조회수: 242

 

 

                     [제362호] 2023년 3월 30

 

                발행인: 가상준  편집인: 임재형

                          www.ducdr.org

 

                    Copyright by DCDRⓒ

                       All rights reserved.


 

 

 

  분쟁해결 칼럼


마을 조정가 양성을 위한 교육안 체계의 필요성

김강민 교수(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사회적으로 갈등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국민 대부분이 인식하고 있다. 더 나아가 세계적으로도 갈등에 대한 증가에 관심을 가지고 국가 간 갈등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단순하게 과거보다 갈등이 증가하고 있다고 단편적으로 인식하기보다는 과거에는 인지하지 않았던 다양한 사회적 요소들이 인식되거나 갈등으로 인지하지 않아 관리되지 않았던 사항들이 늘어나면서 갈등의 증가로 인식하기도 한다.

 

     이처럼 실제로 갈등이 증가하기도 하지만, 지금까지는 갈등으로 인식하지 못했던 것들을 갈등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늘어나면서 갈등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 중에서 가장 심각한 갈등은 일상생활 갈등이다. 일상생활 갈등 중에는 층간소음, 주차 문제, 쓰레기 투기 등 다양한 부분에서 갈등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아파트처럼 공동주택의 개념이 늘어나면서 일상생활 갈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더불어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면서 쾌적한 주변 환경에 대한 욕구, 개인 공간에 대한 욕구들이 나타나는 것도 생활갈등의 증가 이유이다. 이러한 생활갈등은 공공갈등과 다르게 전문가가 투입되어 컨설팅 또는 갈등관리를 위한 노력의 과정이 쉽지 않다. 공공갈등도 아직 체계화되지 않은 현 상황을 보면 이해할 수 있는 사실이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갈등은 단기간 지속해서 발생하기 때문에 절차에 따른 해결이나 시스템에 의존하기에는 관리의 성격이 적합하지 않다. 생활갈등 또는 이웃갈등의 효과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일상의 삶에 같이 속해있는 마을 조정가들이 적절하게 양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 마을 조정가 양성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양성하기 위한 노력이 지자체에서 시작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마을 조정가 양성에 관한 주민들의 관심도 스스로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한 노력으로 일부에서는 이미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운영하기도 하지만 많은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정리하면, 첫째, 교육 대상이 책임감을 느끼고 신청하기보다 지역사회 감투, 자격증 등 개인의 상징적 요소로 활용하기 위해 교육에 참여하는 경우, 둘째, 교육의 내용이 쉽지 않고 사회적 역할이 어렵다는 점을 늦게 인지하여 중도 탈락률이 증가하는 부분, 셋째, 마을 조정가 양성에 대한 적합한 교육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점 등이다. 이 중에서 둘째와 셋째 항목의 한계로 연관되는 부분이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교육안이다.

 

     현재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갈등관리 교육시스템이나 교육안은 오랜 시간 동안 연구되고 있어 비교적 체계화되는 과정에 있다. 하지만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갈등교육은 이제야 첫걸음이다. 혹자는 공무원 교육안을 활용하면 될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할 수 있지만, 일반 주민들이 갈등에 대해 인지하고 이해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공무원들이 사용하는 사무적 용어나 행정적 용어가 쉽게 다가오지 않기 때문이다.

 

     정보의 난해성으로 갈등이 발생하는 양상과 같은 관점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교육하는 과정도 체계적 교육시스템도 중요하지만, 마을주민들이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교육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단어의 사용이나 상황의 표현을 더욱 쉽게 표현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사례들에 대한 풍부한 활용도 필요하지만, 사례 설명에 대한 단어, 용어 등도 일상생활에 맞게 풀어서 쉽게 적용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마을 조정가는 일상생활에서 발생하고 있는 갈등을 대상으로 주민들을 돌보는 역할이다. 마을 조정가가 어렵게 교육을 받고 이를 활용하여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활동을 하면 주민들은 갈등 관리과정을 이해하고 결과를 받아들이기보다 무조건 의지하고 수동적으로 따라갈 수밖에 없으며, 이는 자신이 만족하지 못한 결과가 도출될 때 수용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앞으로 개인의 삶의 질의 중요성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문화, 시설, 가치들이 늘어나게 되고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갈등들은 더욱 증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갈등관리 방안 마련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에 대한 첫 단추가 마을 조정가 양성과 효과적인 교육안 개발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분쟁해결연구센터] [지난호 보기]

 분쟁해결연구센터와 분쟁해결포럼은 모두에게 열려있는 공간입니다. 

분쟁해결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받습니다.감사합니다.

분쟁해결연구센터에서 발송하는 뉴스레터의 수신을 원하지 않으시면[수신거부]를 클릭해 주십시오.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 152 단국대학교 글로컬 산학협력관 635호

Tel: 031-8005-2648 Fax: 031-8005-2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