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334호] 2020년 10월 31일
발행인: 가상준 편집인: 전형준 www.ducdr.org
Copyright by DCDRⓒ All rights reserved.
|
DCDR 뉴스레터 |
흑백갈등까지 해결한 것은 무엇이었는가? |
미국에서 가장 구조적이고 폭발성이 강한 갈등은 흑백갈등이라고 할 수 있다. 요즘 대선을 앞두고 미국의 그런 모습이 다시 뉴스에 보도되고 있다. 게다가 아이들의 교육과 관련되어 있다면? 그 긴장감은 상상하기 힘들 정도이다. 이런 갈등까지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작년에 개봉한 한 영화가 바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준다. 1970년대의 미국. 남부의 한 마을로 관객을 초대하면서. 어느 날 흑인 아이들만 다니던 초등학교가 불에 탄다. 그나마 덜 탄 교실들에서 2부제 수업을 해 보지만, 그을음 냄새가 계속 난다. 흑인 커뮤니티에서는 백인학교와 흑인학교를 분리하는 정책을 철폐하자는 주장이 나온다. 상당수 흑인들의 관점에서 보면 식당을 분리하고, 화장실을 분리하는 것이 잘못된 것처럼, 학교를 분리하는 것도 잘못된 것이라는 주장이다. |
2008~2019년 가정, 직장, 또는 주변 사람들과의 갈등경험 인식 |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는 2008년부터 매년 ‘갈등 및 분쟁에 관한 시민인식조사’를 여론조사 전문기관을 통해 실시하고 있다. 본 인식조사는 당해 연도에 발생한 공공갈등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뿐만 아니라 신뢰와의 관련성, 민주주의 발전에의 기여 등 다양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공공갈등에 대한 과거의 연구들이 보여주지 못한 한국인들의 다양한 시각과 의견을 분석하고 있으며, 통시적으로 연속성을 가지면서도 시기별 특징을 선별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
이달의 공공갈등 논문 및 저서 |
이달(2020년 10월)의 공공갈등 논문 | 논문명 : 조직 내 갈등 및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갈등관리방법의 실증적 분석을 중심으로 출 처 : 한국행정논집, 25(3), 2013. 743-765. 저 자 : 이선영, 정종원 초 록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 조직 내 갈등유형에 따른 적절하고 효과적인 갈등관리방법을 모색하여 보다 공공 부문의 조직효과성을 극대화시키고 효율적인 조직 관리를 하기 위함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직무갈등과 관계갈등, 두 가지 갈등유형이 네 가지 갈등관리방법(통합, 회피, 지배, 절충)과 상호 어떠한 영향관계를 갖고 있는 지를 다중회귀분석 모형을 통해 분석해보고, 정책적 함의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직무갈등의 정도가 클수록 통합갈등관리를 선호하고, 관계갈등의 정도가 클수록 지배나 회피갈등관리를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직무갈등의 정도가 클수록 부분적으로 절충갈등관리를 선호함을 확인했다. 반면 관계갈등의 정도가 커질수록 부분적으로 절충갈등관리를 선호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가져왔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는 직무갈등의 정도가 클수록 회피갈등관리를 선호하지 않는다는 결과와 관계갈등의 정도가 클수록 통합갈등관리를 선호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
|
신고리 5 6호기 공론화 |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는 공공갈등 사례들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이번 호에서 소개할 사례는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이다. 이 사례는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6월 고리 1호기 원자력발전소 영구정지 선포식에서 “신고리 5·6호기 건설에 대해 빠른 시일 내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겠다”고 밝힘으로써 시작되었고, 공론화의 한 형태인 시민참여형 조사를 통해 해결된 사례이다. ‘신고리 5 6호기 공론화’의 배경 ㅇ 2016년 6월 착공한 신고리 5·6호기는 2017년 5월 말 당시 종합공정률이 28.8%에 달한 상태였음. 그러나 실제 공정률을 두고 찬반 이해관계자들 간에 이견이 있을 정도로 논란이 있었고, 건설 중단과 건설 재개라는 두 가지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었음.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의 진행 과정(일부 발췌) ㅇ 신고리5·6호기 공론화는 총 9인으로 구성된 공론화위원회가 공식 출범한 7월 24일부터 대정부 권고안이 발표된 10월 20일까지 약 3개월에 걸쳐 진행되었음. ㅇ 공론화위원회는 공론화의 방법을 공론조사를 기반으로 하는 ‘시민참여형조사로 결정하고, 1차 여론조사를 거쳐 500명의 시민참여단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시민참여단은 이러닝 학습, 2박3일 종합토론회 등의 숙의 과정을 거치면서 총 4차례의 설문조사를 통해 신고리5·6호기 공사 중단 및 재개에 관한 태도와 선호를 표출하는 방식었음.
ㅇ 2010년 10월 15일 2박3일 종합토론회 직후 4차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시민참여단의 의견을 종합하여 공론화위원회는 정부에 신고리5·6호기 공사재개 및 원자력 발전 비중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에너지정책을 추진할 것을 핵심으로 하는 권고안을 제출하였고, 이에 대통령이 공론화위원회의 권고안을 그대로 따르기로 함으로써 공론화 과정은 사회적으로 종결되었음. |
|
연구센터공고 |
등재학술지 『분쟁해결연구』 제 18권 3호 논문투고 안내 |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에서는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인 『분쟁해결연구』제18권 제3호(2020년 12월 30일 발간 예정)에 게재할 논문을 모집합니다. 1. 원고 모집 분야 및 참고 사항 1) 갈등 및 분쟁과 협상 등의 관련 분야 연구 논문 2) 논문은 다른 곳에 게재되었거나 게재될 계획이 없는 것이어야 함. 2. 투고 자격 : 박사과정 재학 이상 및 그에 상응한 연구자 3. 원고 마감 : 2020년 11월 13일 (금) 4. 논문접수(분쟁해결연구센터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투고) 1) 홈페이지: www.ducdr.org(분쟁해결연구 논문기고) |
뉴스레터에 대한 의견을 받습니다
|
본 연구센터가 발간하는 뉴스레터, 『분쟁해결포럼』에 다양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편집에 소중한 자료로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의견을 보내실 곳: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 152 단국대학교 글로컬 산학협력관 635호 분쟁해결연구센터 편집위원회 전화: 031-8005-2648 팩스: 031-8005-4019 E-mail: dcdr@dankook.ac.kr |
|
|
[분쟁해결연구센터] [지난호 보기] |
분쟁해결연구센터와 분쟁해결포럼은 모두에게 열려있는 공간입니다. 분쟁해결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받습니다.감사합니다. 분쟁해결연구센터에서 발송하는 뉴스레터의 수신을 원하지 않으시면[수신거부]를 클릭해 주십시오.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 152 단국대학교 글로컬 산학협력관 635호 Tel: 031-8005-2648 Fax: 031-8005-26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