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22호] 한국사회 세대 간 갈등은 어디로부터 오고 있고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작성자: 관리자 | 작성일: 2019.11.15 | 조회수: 762

 

 

 

                     [제322호] 2019년 11월 15


                발행인: 가상준  편집인: 김강민

                          www.ducdr.org


                    Copyright by DCDRⓒ

                       All rights reserved.


 

 

 

  분쟁해결 칼럼


한국사회 세대 간 갈등은 어디로부터 오고 있고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사회 갈등은 어느 시대, 어느 사회에서나 발생되어 왔으며, 완벽하지는 않지만 인류가 현재까지 고안한 가장 덜 나쁜 정치체제라는 민주주의 사회에서도 오히려 갈등은 전체주의나 독재체제에서 보다도 더 많이 분출하고 있다. 특히 오늘날 한국사회 갈등은 이념갈등, 계층갈등, 노사갈등, 환경갈등, 교육갈등, 지역갈등 등 공공갈등은 물론, 이웃 간 갈등, 혐오갈등 등 그 유형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더하여 한국사회에서 점점 증가하고 있는 갈등이 세대 간 갈등이다. 세대 간 갈등은 각 연령대 간에 존재하는 인식상의 차이와 소통의 부재에서 타나나고 있는데, 이를 분류해 보면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첫째, 인식적비경제적 차원에서 연령대 간의 다양한 이질성으로 인하여 가치관, 정치행태, 시민성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갈등이 나타나고 있고. 둘째, 조세부담, 사회지출, 공적이전 등에 있어 정부의 세입과 세출의 형평성을 둘러싼 갈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구조적경제적 차원에서 고용, 주택, 연금 등에 대한 정부 정책을 놓고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세대 간 갈등이 비록 이념갈등이나 계층갈등 등과 비교하여 차지하는 비중이 낮지만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경제침체로 인한 청년실업이 증가하고 대학입시, 취업 등의 영역에서 공정성 문제가 불거지면서 세대 간 갈등이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이러한 세대 간 갈등은 한국사회에서 가장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진보와 보수의 이념갈등을 뛰어 넘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사실 한국사회 세대 간 갈등의 원인은 기성세대에서 제공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기성세대들은 경제개발, 경쟁과 효율성이 미덕이었으며, 사회적 합의, 공정, 관용과 신뢰는 터부시하였다. 나와 우리 가족의 가치가 우선시되었으며, 다른 사람과 가족은 경쟁관계이자 넘고 서야 할 대상이었다.

 

그렇다면 한국사회의 세대 간 갈등을 어떻게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인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제를 발생시킨 원인을 명확하게 진단하고 처방하는 것이 지름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인식적비경제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세대 간 갈등을 완화하기 위해 경쟁과 효율성보다는 사회적 합의와 공정을 강조하고 관용과 신뢰가 넘치는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구조적경제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세대 간 갈등을 완화하기 위해 제도적 차원에서 세대 간 협약기구(가칭)’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세대 간 유대감을 형성해야 할 것이다. 현재의 젊은 세대도 언젠가는 기성세대가 될 것이며, 그 기성세대는 또 다른 젊은 세대로부터 지원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김희삼 편(2015), [세대 간 갈등의 분석과 상생 방안의 모색]. KDI 연구보고서.

 

<임재형 교수, dkujhlim@dankook.ac.kr>

 

  

 

 [분쟁해결연구센터] [지난호 보기]

 분쟁해결연구센터와 분쟁해결포럼은 모두에게 열려있는 공간입니다. 

분쟁해결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받습니다.감사합니다.

분쟁해결연구센터에서 발송하는 뉴스레터의 수신을 원하지 않으시면[수신거부]를 클릭해 주십시오.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 152 단국대학교 글로컬 산학협력관 635호

Tel: 031-8005-2648 Fax: 031-8005-2653

 

 ​ ​ ​ ​ ​ ​ ​ ​ ​ ​ ​ ​         

 ​